[ TIL ] 2022-05-08 TIL

개발할 때마다 rest api를 통해 데이터를 가져올 때 ‘아 솔직히 이것까진 필요 없는데..’ 생각이 들었었다. 하지만 굳이 한번밖에 안쓰이는 걸 이것땜에 백에서 메소드를 따로 또 만들기는 더 비효율적이다 싶었다. 그래서 그냥 디비에서 데이터를 몽땅 가져와서 클라이언트에서 골라다 쓰곤 했었는데..
그러던 중 Graph QL을 알게 된다면? 오호라..

Graph QL이란?

  • SQL과 같은 쿼리 언어
  • 하지만 sql과 언어적 구조 차이가 있음. sql은 DB에서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가져오는 것이 목적인 반면 Graph QL은 클라이언트가 서버로부터 데이터를 가져올 때 효율적으로 가져오는 것이 목적

그래서 뭐가 다른겨?

GraphQL

  • 원하는 데이터의 키만 골라 요청할 수 있기 때문에 속도가 빠르다.
  • 대신 원하는 데이터가 다르면 코드가 길어진다.

RestAPI

  • 몽땅 부른다음 원하는 것만 골라 쓰는 것이 가능하다.
  • 대신 필요없는 것까지 가져오기 때문에 비효율적이다.

참고

공식문서
한글 공식문서
얄팍한 코딩사전




이렇게 좋은 것이 있었다니.. 언젠가 제대로 써볼 기회가 있을까 @-@.. 있으면 좋겠다~


soyoung kim
Written by@soyoung kim
무슨 생각을 해.. 그냥 하는거지

GitHubLinkedIn